맨위로가기

로켓 엔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켓 엔진은 고온·고속으로 배출되는 기체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고압의 기체를 생성하며, 이 기체가 노즐을 통해 팽창하면서 추력을 발생시킨다. 로켓 엔진은 고체, 액체, 하이브리드, 전기, 열, 핵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방식은 작동 원리, 효율, 안전성, 개발 역사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로켓 엔진의 성능은 비추력, 추력, 추력 대 중량비, 에너지 효율 등으로 평가되며, 연소실과 노즐의 구조, 추진제의 종류, 냉각 방식 등이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로켓 엔진은 우주 개발, 군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성능 향상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트 엔진 - 펄스제트
    펄스제트는 스웨덴에서 고안된 엔진으로, 셔터를 사용해 연소 가스를 분사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V-1 미사일에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드론용 엔진으로 개발되기도 한다.
  • 제트 엔진 - 터보팬
    터보팬은 바이패스비를 활용해 연료 효율을 높인 항공기 엔진으로, 바이패스비에 따라 민간 여객기에 쓰이는 고바이패스 터보팬과 전투기에 쓰이는 저바이패스 터보팬으로 나뉘며, 터보제트 엔진의 단점을 개선하여 제트 엔진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로켓 엔진 - 터보펌프
    터보펌프는 로켓 엔진에서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로 고압 공급하는 펌프로, 작동 방식에 따라 원심식과 축류식으로 나뉘며 효율적인 설계가 중요하다.
  • 로켓 엔진 - 추력기
    추력기는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체를 움직이는 장치로, 우주선의 자세 제어 및 궤도 조정에 사용되는 로켓 엔진 형태의 스러스터와 선박 추진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러스터를 포함하며, 우주선용은 장기간 안정적인 작동이 중요하고 선박용은 기동성 향상에 기여하며, 별을 이동시키는 가상적인 메가스케일 추진 장치도 존재한다.
  • 우주 개발 - 창백한 푸른 점
    창백한 푸른 점은 보이저 1호가 60억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0.12픽셀 크기의 푸른 지구 사진으로, 칼 세이건은 이를 인류의 겸손함과 책임감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으며, 지구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 우주 개발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로켓 엔진
지도
개요
종류추진 기관
작동 원리연소를 통해 생성된 가스의 추력으로 작동
사용 분야로켓, 미사일, 기타 추진 장치
역사
초기 로켓 엔진중국에서 화약을 이용한 로켓 개발
조선의 신기전
근대 로켓 엔진 개발로버트 고더드의 액체 로켓 엔진 개발
베르너 폰 브라운의 V2 로켓 개발
작동 원리
기본 원리뉴턴의 운동 법칙의 작용 반작용 원리
추진제고체 추진제
액체 추진제
하이브리드 추진제
연소 과정추진제 연소로 고온, 고압 가스 생성
노즐생성된 가스를 노즐을 통해 분출, 추력 발생
종류
추진제에 따른 분류고체 로켓 엔진
액체 로켓 엔진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
사용 분야에 따른 분류우주 발사체용 로켓 엔진
미사일용 로켓 엔진
인공위성용 로켓 엔진
탐사선용 로켓 엔진
로켓 추진기용 로켓 엔진
주요 구성 요소
연소실추진제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
추진제 공급 장치추진제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장치
노즐가스를 분출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점화 장치추진제 연소를 시작하는 장치
제어 장치로켓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
주요 성능 지표
추력엔진이 생성하는 힘
비추력추진제 소비량 대비 생성된 추력의 효율
연소 시간엔진이 작동하는 시간
추력 대 중량비엔진 추력을 엔진 무게로 나눈 값
기타
참고로켓 엔진은 재사용이 가능한 로켓 개발을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중이다.
관련 기술추력 편향 제어, 다단 로켓

2. 작동 원리

로켓 엔진은 고속으로 가속된 배기 유체를 배출하여 추력을 생성한다. 이 유체는 일반적으로 10bar에서 300bar 사이의 고압에서 고체 또는 액체 추진제가 연료산화제 성분으로 구성되어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되어 생성된 기체이다.[1] 기체가 노즐을 통해 팽창하면서 매우 높은 (초음속) 속도로 가속되고, 이 반작용으로 엔진이 반대 방향으로 밀린다. 열역학 법칙(특히 카르노 정리)에 따라 최고의 열효율을 위해서는 고온과 고압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연소가 실제 로켓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모형 로켓의 경우에는 연소 대신 압축 공기,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기타 쉽게 구할 수 있는 불활성 기체로 가압된 물 로켓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 로켓 엔진은 연료와 산화제 등의 화학 반응, 즉 연소에 의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그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에너지원과 분사하는 물질 양쪽을 가리켜 추진제라고 한다. 연소실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압력은 로켓 엔진 노즐에 의해 속도로 변환되어 고속으로 후방으로 분사된다.

제트 엔진과 달리 로켓 엔진은 미리 탑재하고 있는 산화제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킨다. 이 때문에 단시간에 큰 이나 일률을 얻을 수 있고, 진공우주기압이 작은 고고도, 수중 등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umb

2. 1. 추진제

대부분의 로켓 엔진은 고온·고속으로 방출되는 기체로 추진력을 생성한다. 이 기체는 일반적으로 높은 압력(10 ~ 200기압)의 연소실 내부에서 연료와 산화제로 구성된 고체 또는 액체 추진제가 연소되어 만들어진다.

액체연료 로켓의 간략도


고체연료 로켓의 간략도


로켓 추진제는 일반적으로 일종의 저장탱크 또는 연소실 자체에 저장된 후,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유체 제트의 형태로 로켓 엔진에서 배출되는 질량이다.

화학 로켓 추진제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추진제는 발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추진을 위한 고온 가스 제트를 생성한다. 또는,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반응 질량을 연소실 대신 열교환기를 통해 고에너지 동력원으로 가열할 수 있다.

고체 로켓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 성분의 혼합물인 '과립(grain)'으로 만들어지며, 추진제 저장 케이스는 사실상 연소실이 된다. 액체연료 로켓은 일반적으로 연료와 산화제를 분리하여 연소실에 주입하여 혼합·산화시킨다. 고체 로켓의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가 섞여 있으며, 저장소가 연소실이 된다.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은 고체와 액체 또는 기체 산화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로켓 추진제는 단위 질량당 높은 에너지(비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는 고에너지 추진제가 자발적으로 폭발하는 경향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추진제의 화학적 잠재 에너지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연소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방출된다. 이 열의 상당 부분은 엔진 노즐에서 운동 에너지로 전달되어 연소 생성물의 질량과 결합하여 로켓을 전진시킨다.

이상적으로는 모든 반응 에너지가 배기가스의 운동 에너지로 나타나야 하는데, 배기 속도는 엔진 성능의 가장 중요한 단일 지표이다. 그러나 실제 배기 물질은 분자이며, 일반적으로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병진, 진동 및 회전 모드를 갖는다. 이 중에서 병진만이 차량에 유용한 일을 할 수 있으며, 에너지는 모드 간에 전달되지만 이 과정은 배기가스가 노즐을 빠져나가는 데 필요한 시간보다 훨씬 긴 시간 척도에서 발생한다.

배기 분자가 가진 화학 결합이 많을수록 회전 및 진동 모드가 더 많아진다. 따라서 배기 물질은 가능한 한 단순한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적으로는 H2와 같이 가볍고 풍부한 원자로 구성된 이원자 분자가 이상적이다. 그러나 화학 로켓의 경우 수소는 생성물이 아니라 반응물이자 환원제이다. 산화제, 가장 일반적으로 산소 또는 산소가 풍부한 물질을 연소 과정에 도입해야 하며, 이는 배기 물질에 질량과 화학 결합을 추가한다.

가벼운 분자의 또 다른 장점은 현재 사용 가능한 재료로 포함할 수 있는 온도에서 고속으로 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로켓 엔진의 고온 가스는 생존 가능한 모터의 설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액체 수소(LH2)와 산소(LOX 또는 LO2)는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배기 속도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추진제이지만, 붕소 또는 액체 오존을 포함하는 몇 가지 특수한 조합은 여러 가지 실제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면 이론적으로 다소 더 나을 수 있다.[36]

주어진 추진제 조합의 특정 반응 에너지를 계산할 때 추진제(연료와 산화제 모두)의 전체 질량을 포함해야 한다. 예외는 대기 산소를 사용하고 따라서 주어진 에너지 출력에 대해 더 적은 질량을 운반해야 하는 공기 호흡 엔진의 경우이다. 자동차 또는 터보제트 엔진의 연료는 운반해야 하는 추진제 단위 질량당 훨씬 더 나은 유효 에너지 출력을 가지지만, 연료 단위 질량당은 비슷하다.

로켓 엔진에서 추진제 성능을 예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37][38][39]

모형 로켓에서는 연소 대신 압축 공기,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기타 쉽게 구할 수 있는 불활성 기체로 가압된 물 로켓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 로켓의 로켓 엔진은 연료(와 산화제 등)의 화학 반응 즉 연소에 의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그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에너지원과 분사하는 물질 양쪽을 가리켜(대중적인 화학 로켓에서는 동일한 경우도 많으므로) 추진제라고 한다. 연소실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압력은 로켓 엔진 노즐에 의해 속도로 변환되어 고속으로 후방으로 분사된다. 전기 추진의 경우 전기적인 효과에 의해 추진제를 가속하기 때문에 노즐을 갖추지 않은 것도 있다.

제트 엔진과의 차이는 제트 엔진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압축하여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하는 데 반해, 로켓 엔진은 미리 탑재하고 있는 산화제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단시간에 큰 이나 일률을 얻을 수 있고, 진공우주기압이 작은 고고도, 수중 등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장시간의 연속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손상이 심하다는 점이나 우주 비행·무기 이용 등 회수가 어려운 용도가 많다는 점에서 대부분 일회용 방식이지만, 스페이스 셔틀용 SSME나 팰컨 9의 머린 엔진 등 재사용 가능한 것도 일부 존재한다.

화학 로켓의 경우, 추력은 가스의 분출 속도와 연소 압력, 외부 압력의 비에 따라 결정된다. 대기 중에서는 대기압이 존재하기 때문에 압력 항의 요소가 크고, 상대적으로 높은 연소 압력이 요구된다. 진공이 되면 외부 압력이 없기 때문에 압력 항이 무시되고, 대신 분출 속도(높은 비추력)가 중요해진다.

로켓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비추력이 있다. 이것은 가스의 분출 속도를 중력 가속도로 나눈 것으로, 질량 1kg의 추진제로 1N의 추력을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연비와 달리 값이 클수록 효율이 좋다. 전기 추진은 비추력을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추력이 극단적으로 작은 대신 비추력이 화학 로켓보다 훨씬 크다.

thumb

화학 로켓에는 고체 연료 로켓, 액체 연료 로켓, 하이브리드 로켓 등이 있다. 고체 연료 로켓은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하기 쉽고 보관도 용이하지만, 일단 연소를 시작하면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소형의 미사일 등에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기술 개발에 의해 대형 로켓/미사일에서의 사용 예도 많아지고 있다. 액체 연료 로켓은 고체 연료 로켓에 비해 제어는 용이하지만, 연료의 보관, 발사 과정이 복잡하다. 하이브리드 로켓은 양쪽의 장점을 겸비한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2. 2. 추진제 주입

액체 추진제 로켓은 연료와 산화제를 분리하여 연소실로 보내 혼합 및 연소시킨다. 액체 로켓과 하이브리드 로켓 모두 추진제를 연소실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기'''를 사용한다.[49] 이들은 종종 단순한 제트(추진제가 압력을 받아 분출되는 구멍)의 배열이지만, 때로는 더 복잡한 분무 노즐일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추진제를 주입할 때는 제트가 추진제가 충돌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흐름을 더 작은 방울로 분해하여 연소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2. 3. 연소실

대부분의 로켓 엔진은 고온·고속으로 방출되는 기체로 추진력을 생성한다. 이 기체는 일반적으로 높은 압력(10 ~ 200기압)의 연소실 내부에서 연료와 산화제로 구성된 고체 또는 액체 추진제가 연소되어 만들어진다.[1]

액체 연료 로켓은 일반적으로 연료와 산화제를 분리하여 연소실에 주입하여 혼합·산화시킨다. 고체 로켓의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가 섞여 있으며, 저장소가 연소실이 된다.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은 고체와 액체 또는 기체 산화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반작용 물질이 고에너지의 동력원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1]

화학 로켓에서 연소실은 일반적으로 실린더(기통)이다. 실린더는 추진제가 충분히 연소될 수 있는 크기이다. (추진제에 따라 연소실의 크기는 달라진다.)[1]

이로부터 L* 값이 얻어진다.

:L* = \frac {V_c} {A_t}

단,

:V_c는 연소실의 부피

:A_t는 통로의 면적이며,

L* 은 일반적으로 0.6 ~ 1.5 m 범위이다.[1]

로켓 엔진은 고속으로 가속된 배기 유체를 배출하여 추력을 생성한다. 이 유체는 일반적으로 고압 ( 에서 )에서 고체 또는 액체 추진제의 연소로 생성된 기체이며, 연료산화제 성분으로 구성되어 연소실 내부에 있다. 기체가 노즐을 통해 팽창하면서 매우 높은 (초음속) 속도로 가속되고, 이 반작용으로 엔진이 반대 방향으로 밀린다. 열역학 법칙(특히 카르노 정리)에 따라 최고의 열효율을 위해서는 고온과 고압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연소가 실제 로켓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핵열 로켓은 더 높은 효율을 낼 수 있지만, 현재 환경 문제로 인해 지구 대기와 달 궤도 공간에서의 일상적인 사용이 제한된다.[6]

모형 로켓에서는 연소 대신 압축 공기,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기타 쉽게 구할 수 있는 불활성 기체로 가압된 물 로켓을 사용할 수 있다.[6]

화학 로켓의 연소실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연소실의 느린 흐름 부분에서 일부 연소를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플레임 홀더는 필요하지 않다. 원통의 치수는 추진제가 완전히 연소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서로 다른 로켓 추진제는 이러한 연소를 위해 서로 다른 연소실 크기를 필요로 한다.[1]

이로 인해 특성 길이인 L^*라는 값이 도출된다.

:L^* = \frac {V_c} {A_t}

여기서:

  • V_c는 연소실의 부피이다.
  • A_t는 노즐 목구멍의 면적이다.

L*는 일반적으로 범위이다.[1]

실용적인 열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로켓 연소실에서 일반적으로 도달하는 온도와 압력은 애프터버너가 없는 공기 호흡식 제트 엔진에 비해 극단적이다. 연소를 희석하고 냉각시키는 대기 질소가 없으므로 추진제 혼합물은 진정한 화학량론적 비율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높은 압력과 결합하여 벽을 통한 열 전도율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1]

연료와 산화제가 연소실로 유입되려면 연소실로 유입되는 추진제의 압력이 연소실 내부의 압력을 초과해야 한다. 이는 터보펌프를 포함한 다양한 설계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거나, 간단한 엔진의 경우 충분한 탱크 압력을 통해 유체 흐름을 진행시킬 수 있다. 탱크 압력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많은 대형 로켓 엔진에 일반적인 고압 헬륨 가압 시스템이나 일부 새로운 로켓 시스템의 경우 엔진 사이클에서 고압 가스를 배출하여 추진제 탱크를 자동으로 가압하는 방법이 있다.[1][6] 예를 들어, 스페이스X 스타십의 자체 가압 가스 시스템은 스페이스X가 기존의 팰컨 9 계열 발사체의 5가지 유체를 스타십의 2가지로 줄이려는 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며, 헬륨 탱크 가압제뿐만 아니라 모든 자발 발화성 추진제와 저온 가스 반응 제어 추력기를 위한 질소도 제거한다.[41]

2. 4. 로켓 엔진 노즐

로켓 추력은 연소실과 노즐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발생한다.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배기가스에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압력이 작용하며, 이는 배기가스를 고속으로 가속시킨다.


드 라발 노즐의 네 가지 팽창 영역:
* 과소팽창

  • 완전팽창
  • 과팽창
  • 과도하게 과팽창]]

연소실에서 생성된 고온 가스는 개구부("목"이라고 함)와 발산 확장부를 통해 배출된다. 노즐에 충분한 압력(주변 압력의 약 2.5~3배)이 가해지면 항류가 발생하고 초음속 제트가 형성되어 가스가 극적으로 가속되고 열에너지 대부분이 운동에너지로 변환된다. 배기 속도는 노즐 설계 팽창비에 따라 다르지만, 해수면에서 공기 중 음속의 10배에 달하는 속도도 드물지 않다. 로켓 엔진 추력의 약 절반은 연소실 내부의 불균형 압력에서, 나머지는 노즐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서 발생한다(그림 참조). 가스가 단열적으로 팽창하면서 노즐 벽에 작용하는 압력은 로켓 엔진을 한 방향으로 밀고 가스를 다른 방향으로 가속시킨다.

가장 일반적인 노즐은 높은 팽창비를 가진 고정 형상 노즐인 드 라발 노즐이다. 목 너머로 넓게 펼쳐진 종 모양 또는 원뿔 모양의 노즐 확장부는 로켓 엔진의 특징적인 모양을 만든다.

배기 제트의 출구 정압은 챔버 압력과 노즐의 출구 대 목 구역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출구 압력이 주변(대기) 압력과 다를 때, 항류 노즐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과소팽창''' (출구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큼)
  • '''완전팽창''' (출구 압력이 주변 압력과 같음)
  • '''과팽창''' (출구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작음; 노즐 외부에 충격 다이아몬드가 형성됨)
  • '''과도하게 과팽창''' (노즐 확장부 내부에 충격파가 형성됨)


실제로 완전 팽창은 가변 출구 면적 노즐(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변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달성 가능하며, 주변 압력이 0에 가까워지는 특정 고도 이상에서는 불가능하다. 노즐이 완전 팽창되지 않으면 효율이 저하된다. 과도하게 과팽창된 노즐은 효율 손실이 적지만 노즐에 기계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고정 면적 노즐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과소팽창된다. 거의 모든 드 라발 노즐은 대기 중에서 시동 중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과팽창된다.[2]

노즐 효율은 대기압이 고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대기 중 작동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로켓 엔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초음속으로 인해 제트의 압력은 주변 압력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으며, 모든 고도에서 두 압력 사이의 평형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그림 참조). 최적의 성능을 위해 노즐 끝의 가스 압력은 주변 압력과 같아야 한다. 배기가스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낮으면 엔진 상단과 배기구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해 차량 속도가 느려진다. 반면 배기가스 압력이 더 높으면 추력으로 전환될 수 있었던 배기 압력이 전환되지 않아 에너지가 낭비된다.

배기가스 출구 압력과 주변 압력 사이의 이상적인 평형을 유지하려면 고도에 따라 노즐 직경을 늘려 압력이 더 긴 노즐에 작용하도록 하여 출구 압력과 온도를 낮춰야 한다. 이러한 증가는 경량으로 구현하기 어렵지만 다른 형태의 제트 엔진에서는 일상적으로 수행된다. 로켓에서는 일반적으로 경량의 절충 노즐을 사용하며, '설계 고도'가 아닌 다른 고도에서 사용하거나 스로틀링할 때 대기 성능이 다소 저하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플러그 노즐, 계단형 노즐, 팽창 노즐, 에어로스파이크 등 다양한 특수 노즐 설계가 제안되었으며, 각각 주변 기압 변화에 적응하여 고고도에서 추가 추력을 제공한다.

충분히 낮은 주변 압력(진공)으로 배출할 때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하나는 노즐의 순 중량으로, 특정 지점을 넘어서면 추가 중량이 얻어지는 성능을 상쇄한다. 둘째, 배기 가스가 노즐 내에서 단열 팽창하면서 냉각되고 결국 일부 화학 물질이 얼어서 제트 내에 '눈'이 생성되어 제트 불안정성을 유발하므로 피해야 한다.

드 라발 노즐에서 배기 가스 흐름 분리는 과도하게 과팽창된 노즐에서 발생한다. 분리점은 엔진 축을 중심으로 균일하지 않으므로 엔진에 측면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여 발사체 제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고도 보정 설계, 예를 들어 에어로스파이크 또는 플러그 노즐은 고도 변화에 따른 팽창비 변화에 적응하여 성능 손실을 최소화한다.

아르마딜로 에어로스페이스의 쿼드 차량 배기 제트에서 보이는 밴딩(충격 다이아몬드)을 보여줌


로켓 제트는 로켓 엔진, 설계 고도, 고도, 추력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RP-1과 같은 등유 기반 연료에서 나오는 탄소가 풍부한 배기가스는 타지 않은 입자의 흑체 복사와 청색 스완 밴드 외에도 주황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과산화수소 산화제 기반 로켓과 수소 로켓 제트는 대부분 수증기로 구성되어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지만 자외선적외선 영역에서는 밝게 빛난다. 고체 추진제 로켓의 제트는 추진제에 종종 원소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 포함되어 주황색-흰색 불꽃으로 연소하고 연소 과정에 에너지를 더하기 때문에 매우 잘 보일 수 있다. 액체 수소와 산소를 연소하는 로켓 엔진은 대부분 과열된 수증기(수증기)와 약간의 미연소 수소로 구성되어 거의 투명한 배기가스를 나타낸다.

노즐은 일반적으로 해수면에서 과팽창되며, 배기가스는 배기가스의 백열로 인한 슐리렌 효과를 통해 가시적인 충격 다이아몬드를 나타낼 수 있다.

고정 면적 노즐의 제트 모양은 고도에 따라 팽창 비율이 달라짐에 따라 변한다. 고고도에서는 모든 로켓이 심하게 과소팽창되고, 배기가스의 매우 작은 비율만이 실제로 앞으로 팽창한다.

화학 로켓의 경우, 추력은 가스의 분출 속도와 연소 압력, 외부 압력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3. 용어

열 로켓은 전기(전기열 추진) 또는 원자로(핵열 로켓)에 의해 가열된 불활성 추진제를 사용한다.

화학 로켓은 추진제의 발열 산화-환원 화학 반응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다.


  • '''고체 추진제 로켓'''(또는 '''고체 추진 로켓''' 또는 '''모터''')은 고체 상태의 추진제를 사용하는 화학 로켓이다.
  • '''액체 추진제 로켓'''은 탱크에서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 상태 추진제를 사용한다.
  • '''하이브리드 로켓'''은 연소실에 고체 추진제를 사용하며, 연소를 위해 두 번째 액체 또는 기체 산화제가 추가된다.
  • '''단일 추진제 로켓'''은 촉매에 의해 분해되는 단일 추진제를 사용한다. 가장 일반적인 단일 추진제는 히드라진과 과산화수소이다.

4. 로켓 엔진의 성능

로켓 엔진의 추진제 효율을 높이려면, 특정량의 추진제로 엔진의 연소실과 노즐 벽에 최대한 높은 압력을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압력이 추력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 추진제를 가능한 한 높은 온도로 가열 (수소와 탄소, 그리고 때로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고에너지 연료를 사용하거나, 심지어 핵에너지를 사용)
  • 낮은 비중의 기체(가능한 한 수소가 풍부한) 사용
  • 병진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단순한 분자 또는 단순한 분자로 분해되는 추진제 사용


이러한 모든 방법은 사용되는 추진제의 질량을 최소화한다. 압력은 가속되는 추진제의 질량에 비례하며,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엔진에 작용하는 압력은 추진제에도 반대로 작용한다. 따라서 주어진 엔진의 경우, 추진제가 연소실을 떠나는 속도는 연소실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추력은 비례하지만). 그러나 속도는 위의 세 가지 요인 모두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배기 속도는 엔진 추진제 효율을 측정하는 우수한 지표이다. 이를 ''배기 속도''라고 하며, 이를 감소시키는 요인을 고려하여 '''유효 배기 속도'''는 로켓 엔진의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4]

공기역학적 이유로 유동은 노즐의 가장 좁은 부분인 '목'에서 음속이 된다("초크 현상"). 기체의 음속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고온 배기 가스의 사용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비교하면, 상온에서 공기 중의 음속은 약 340m/s인 반면, 로켓 엔진의 고온 가스 내 음속은 1700m/s를 넘을 수 있다. 이러한 성능 향상의 상당 부분은 더 높은 온도 때문이지만, 로켓 추진제는 또한 낮은 분자량으로 선택되며, 이는 공기에 비해 더 높은 속도를 제공한다.

로켓 노즐에서의 팽창은 속도를 더욱 증가시키는데, 일반적으로 1.5배에서 2배 정도 증가하여 고도로 평행한 초음속 배기 제트를 생성한다. 로켓 노즐의 속도 증가는 대부분 면적 팽창비(출구 면적과 목의 면적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지만, 기체의 세부 특성도 중요하다. 더 큰 비율의 노즐은 더 무겁지만 연소 가스에서 더 많은 열을 추출하여 배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로켓 기술은 매우 높은 추력(메가뉴턴), 매우 높은 배기 속도(해수면에서의 음속의 약 10배), 그리고 매우 높은 추력-중량비(>100)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대기권 밖에서도 작동하고, 저압을 사용하여 경량의 탱크와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로켓은 이러한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다른 특성을 희생하여 더욱 극단적인 성능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4. 1. 비추력 (Specific Impulse, Isp)

로켓 엔진 효율의 가장 중요한 척도는 단위 추진제당 충격량이며, 이를 비추력(일반적으로 I_{sp}로 표기)이라고 한다. 이는 속도(m/s 또는 ft/s 단위의 ''유효 배기 속도'' v_{e}) 또는 시간(초)으로 측정된다. 예를 들어, 100파운드의 추력을 발생하는 엔진이 320초 동안 작동하고 100파운드의 추진제를 연소한다면 비추력은 320초이다. 비추력이 높을수록 원하는 충격량을 얻는 데 필요한 추진제가 적어진다.[4]

달성 가능한 비추력은 주로 추진제 혼합비의 함수이며(궁극적으로 비추력을 제한한다), 연소실 압력과 노즐 팽창비에 대한 실질적인 한계는 달성 가능한 성능을 감소시킨다.

압력에 따라 비추력이 변하기 때문에 비교 및 계산이 용이한 값이 유용하다. 로켓은 목에서 막히고, 초음속 배기는 외부 압력의 영향이 상류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혼합비와 연소 효율이 유지되는 경우 배기구의 압력은 추진제 유량 \dot{m}에 정확히 비례한다. 따라서 다음의 ''진공 비추력(Isp)''을 정의한다.

:v_{evac} = C_f\, c^* \,

여기서:

:c^*  =  특성 속도 (추진제 및 연소 효율에 따라 달라짐)

:C_f  =  추력 계수 상수 (노즐 형상에 따라 달라짐, 일반적으로 약 2)

로켓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비추력이 있다. 이것은 가스의 분출 속도를 중력 가속도로 나눈 것으로, 질량 1kg의 추진제로 1N의 추력을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연비와 달리 값이 클수록 효율이 좋다. 전기 추진은 비추력을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추력이 극단적으로 작은 대신 비추력이 화학 로켓보다 훨씬 크다.

화학 로켓의 경우, 진공이 되면 외부 압력이 없기 때문에 분출 속도(높은 비추력)가 중요해진다.

다음은 여러 로켓 엔진들의 주요 제원들을 비교한 표이다.

기종RS-25DLE-7ARD-0120발칸 2RS-68YF-77
개발국미국일본소련유럽우주국미국중국
형식2단 연소 사이클2단 연소 사이클2단 연소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
전고4.24m3.7m4.55m3.45m5.2m4.2m
직경1.63m1.82m2.42m2.1m2.43m
중량3177kg1832kg3449kg2100kg6696kg2700kg
추진제액체수소와 액체산소액체수소와 액체산소액체수소와 액체산소액체수소와 액체산소액체수소와 액체산소액체수소와 액체산소
주연료실 압력18.9 MPa12.3 MPa21.8 MPa11.5 MPa9.7 MPa10.2 MPa
진공 비추력453초440초454초434초409초430초
진공 추력2.278 MN1.098 MN1.961 MN1.340 MN3.370 MN0.700 MN
지상 추력1.817 MN1.517 MN0.960 MN2.949 MN0.510 MN
탑재스페이스셔틀H-IIA 로켓
H-IIB 로켓
에네르기야아리안 5호델타 IV창정 5호



'''주요 제원 목록'''
RL-10HM7BVinciCE-7.5YF-75RD-0146ES-702ES-1001LE-5LE-5ALE-5B
개발국 미국 프랑스 프랑스 인도 중국 러시아 일본 일본 일본 일본 일본
연소 사이클팽창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팽창 사이클2단 연소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팽창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가스 발생기 사이클팽창 배기 사이클
(노즐 팽창기)
팽창 배기 사이클
(챔버 팽창기)
진공 추력66.7kN62.7kN180kN73kN78.45kN98.1kN68.6kN[52]98kN[53]102.9kN121.5kN137.2kN
혼합비5.055.26.05.555
팽창비404040140130110
진공 비추력 (초)433444.2465454437463425[54]425[55]450452447
연소 압력 MPa2.353.56.15.83.687.742.453.513.653.983.58
액체수소 터보펌프 회전수 min-1125,00041,00046,31050,00051,00052,000
액체산소 터보펌프 회전수 min-116,68021,08016,00017,00018,000
전장 m1.73m1.8m2.2m~4.2m2.14m1.5m2.2m2.68m2.69m2.79m
질량 kg135kg165kg280kg435kg550kg242kg255.8kg259.4kg[56]255kg248kg285kg


4. 2. 추력 (Thrust)

로켓 엔진은 고속으로 가속된 배기 유체를 배출하여 추력을 생성한다. 이 유체는 일반적으로 에서 의 고압에서 고체 또는 액체 추진제의 연소로 생성된 기체이며, 연료산화제 성분으로 구성되어 연소실 내부에 있다. 기체가 노즐을 통해 팽창하면서 매우 높은 (초음속) 속도로 가속되고, 이 반작용으로 엔진이 반대 방향으로 밀린다. 열역학 법칙(특히 카르노 정리)에 따라 최고의 열효율을 위해서는 고온과 고압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연소가 실제 로켓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핵열 로켓은 더 높은 효율을 낼 수 있지만, 현재 환경 문제로 인해 지구 대기와 달 궤도 공간에서의 일상적인 사용이 제한된다.

모형 로켓에서는 연소 대신 압축 공기,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기타 쉽게 구할 수 있는 불활성 기체로 가압된 물 로켓을 사용할 수 있다.

로켓 기술은 매우 높은 추력(메가뉴턴), 매우 높은 배기 속도(해수면에서의 음속의 약 10배), 그리고 매우 높은 추력-중량비(>100)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대기권 밖에서도 작동하고, 저압을 사용하여 경량의 탱크와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로켓은 이러한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다른 특성을 희생하여 더욱 극단적인 성능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아래는 로켓 엔진의 순 추력을 계산하는 근사 방정식이다.[3]

: F_n = \dot{m}\;v_{e} = \dot{m}\;v_{e-opt} + A_{e}(p_{e} - p_{amb})

여기서: 
\dot{m}=  배기가스 질량 유량
v_{e}=  유효 배기 속도 (간행물에서는 때때로 c로 표시됨)
v_{e-opt}=  Pamb = Pe일 때 유효 제트 속도
A_{e}=  노즐 출구면의 유동 면적 (또는 분리된 유동이 있는 경우 제트가 노즐을 나가는 면)
p_{e}=  노즐 출구면의 정압
p_{amb}=  주변(또는 대기) 압력



제트 엔진과 달리 기존 로켓 모터에는 공기 흡입구가 없으므로 총 추력에서 공기 저항을 빼지 않는다. 따라서 로켓 모터의 순 추력은 (정적 역압을 제외하고) 총 추력과 같다.

\dot{m}\;v_{e-opt}\, 항은 주어진 스로틀 설정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운동량 추력을 나타내는 반면, A_{e}(p_{e} - p_{amb})\, 항은 압력 추력 항을 나타낸다. 최대 스로틀에서 로켓 모터의 순 추력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향상된다.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기압이 감소하므로 압력 추력 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지구 표면에서는 엔진 설계에 따라 압력 추력이 최대 30%까지 감소할 수 있다. 이 감소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거의 기하급수적으로 0으로 떨어진다.

로켓 엔진의 최대 효율은 배기가스의 과팽창으로 인한 불이익 없이 방정식의 운동량 기여도를 극대화하여 달성된다. 이는 p_{e} = p_{amb}일 때 발생한다. 주변 압력은 고도에 따라 변하므로 대부분의 로켓 엔진은 최대 효율로 작동하는 시간이 매우 적다. 비추력은 힘을 질량 유량으로 나눈 것이므로 이 방정식은 비추력이 고도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 로켓의 로켓 엔진은 연료(와 산화제 등)의 화학 반응 즉 연소에 의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그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에너지원과 분사하는 물질 양쪽을 가리켜(대중적인 화학 로켓에서는 동일한 경우도 많으므로) 추진제라고 한다. 연소실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압력은 로켓 엔진 노즐에 의해 속도로 변환되어 고속으로 후방으로 분사된다. 전기 추진의 경우 전기적인 효과에 의해 추진제를 가속하기 때문에 노즐을 갖추지 않은 것도 있다.

화학 로켓의 경우, 추력은 가스의 분출 속도와 연소 압력, 외부 압력의 비에 따라 결정된다. 대기 중에서는 대기압이 존재하기 때문에 압력 항의 요소가 크고, 상대적으로 높은 연소 압력이 요구된다. 진공이 되면 외부 압력이 없기 때문에 압력 항이 무시되고, 대신 분출 속도(높은 비추력)가 중요해진다.

4. 3. 에너지 효율

로켓 엔진의 추진제 효율을 높이려면, 특정량의 추진제로 엔진의 연소실과 노즐 벽에 최대한 높은 압력을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압력이 추력의 원천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 추진제를 가능한 한 높은 온도로 가열 (수소와 탄소, 그리고 때로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고에너지 연료를 사용하거나, 심지어 핵에너지를 사용)
  • 낮은 비중의 기체(가능한 한 수소가 풍부한) 사용
  • 병진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단순한 분자 또는 단순한 분자로 분해되는 추진제 사용


이러한 모든 방법은 사용되는 추진제의 질량을 최소화한다. 압력은 가속되는 추진제의 질량에 비례하며,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엔진에 작용하는 압력은 추진제에도 반대로 작용한다. 따라서 주어진 엔진의 경우, 추진제가 연소실을 떠나는 속도는 연소실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추력은 비례하지만). 그러나 속도는 위의 세 가지 요인 모두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배기 속도는 엔진 추진제 효율을 측정하는 우수한 지표이다. 이를 ''배기 속도''라고 하며, 이를 감소시키는 요인을 고려하여 '''유효 배기 속도'''는 로켓 엔진의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무게, 비용, 제조 용이성 등도 일반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공기역학적 이유로 유동은 노즐의 가장 좁은 부분인 '목'에서 음속이 된다("초크 현상"). 기체의 음속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고온 배기 가스의 사용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비교하면, 상온에서 공기 중의 음속은 약 340m/s인 반면, 로켓 엔진의 고온 가스 내 음속은 1700m/s를 넘을 수 있다. 이러한 성능 향상의 상당 부분은 더 높은 온도 때문이지만, 로켓 추진제는 또한 낮은 분자량으로 선택되며, 이는 공기에 비해 더 높은 속도를 제공한다.

로켓 노즐에서의 팽창은 속도를 더욱 증가시키는데, 일반적으로 1.5배에서 2배 정도 증가하여 고도로 평행한 초음속 배기 제트를 생성한다. 로켓 노즐의 속도 증가는 대부분 면적 팽창비(출구 면적과 목의 면적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지만, 기체의 세부 특성도 중요하다. 더 큰 비율의 노즐은 더 무겁지만 연소 가스에서 더 많은 열을 추출하여 배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로켓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비추력이 있다. 이것은 가스의 분출 속도를 중력 가속도로 나눈 것으로, 질량 1kg의 추진제로 1N의 추력을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연비와 달리 값이 클수록 효율이 좋다.

4. 4. 추력 대 중량비

중량비(kg)(lb)(kN)(lbf)RD-0410 핵 로켓 엔진200035.2J58 제트 엔진 (SR-71 블랙버드)27221505.2롤스로이스/스넥마 올림푸스 593
터보제트 재가열 장치 포함 (콩코드)3175169.2프랫앤휘트니 F1193900205007.95RD-0750 로켓 엔진, 3원료 모드46211413RD-0146 로켓 엔진26098로켓다인 RS-25 로켓 엔진31772278RD-180 로켓 엔진53934152RD-170 로켓 엔진97507887F-1 (새턴 V 1단)83917740.5NK-33 로켓 엔진12221638머린 1D 로켓 엔진, 전추력 버전467825


5. 로켓 엔진의 문제점

로켓 엔진은 높은 연소 온도와 압축비 덕분에 효율적인 열기관이지만,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차량 속도가 배기 속도에 근접하면 에너지 효율이 좋지만, 저속에서는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 더 자세한 내용은 로켓 에너지 효율을 참조.

5. 1. 기계적 문제

화학 로켓의 연소실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플레임 홀더는 필요하지 않다. 원통의 크기는 추진제가 완전히 연소될 수 있도록 설계되며, 서로 다른 로켓 추진제는 서로 다른 연소실 크기를 필요로 한다. 특성 길이 L^* = \frac {V_c} {A_t} (V_c는 연소실 부피, A_t는 노즐 목구멍 면적)는 일반적으로 64cm 에서 152cm 범위이다.

로켓 연소실은 애프터버너가 없는 공기 호흡식 제트 엔진에 비해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작동한다. 대기 질소가 없어 추진제 혼합물은 진정한 화학량론적 비율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압력과 결합하여 벽을 통한 열 전도율을 매우 높인다.

연료와 산화제가 연소실로 유입되려면 추진제 압력이 연소실 내부 압력보다 높아야 한다. 이는 터보펌프나 충분한 탱크 압력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탱크 압력은 고압 헬륨 가압 시스템이나 엔진 사이클에서 고압 가스를 배출하여 추진제 탱크를 자동으로 가압하는 방법으로 유지할 수 있다.[1][6] 스페이스X 스타십의 자체 가압 가스 시스템은 헬륨 탱크 가압제, 자발 발화성 추진제, 저온 가스 반응 제어 추력기용 질소를 제거한다.[41]

로켓 연소실은 10~200bar(1~20MPa, 150~3000psi)의 높은 압력에서 작동하며, 이는 더 크고 효율적인 노즐을 장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고압은 연소실 바깥쪽에 큰 후프 응력을 발생시키며, 로켓 엔진은 압력 용기이다.

고온은 재료의 항복 인장 강도를 낮추며, 연소실과 노즐 벽의 온도 구배로 인해 내부 라이너의 차등 팽창과 내부 응력이 발생한다. 효율성을 위해 고온이 필요하지만, 너무 높으면 재료 강도가 저하된다. 로켓은 최대 약 3315.6°C의 연소 온도로 작동한다.[2]

대부분의 제트 엔진은 가스터빈을 사용하지만, 로켓은 표면적이 커 냉각이 어렵고, 덕트 엔진은 공기를 산화제로 사용해 반응을 희석하고 온도를 낮춘다.[49] 로켓은 이러한 제한이 없다.

로켓 엔진의 연소 온도는 노즐과 연소실 재료의 녹는점(약 1,200 K, 구리)을 초과하며, 대부분의 건축 자재는 고온 산화제에 노출되면 연소된다. 따라서 엔진 구조의 온도를 제한하기 위해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다. 재생 냉각 및 필름 냉각 등의 기술은 노즐과 연소실의 수명을 연장하며, 기체 열 경계층을 재료 파손 온도 이하로 유지한다.

탄소-탄소 재료와 레늄은 로켓 연소 온도를 견딜 수 있지만, 특정 조건에서 산화된다. 내화 합금(예: 알루미나,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도 시도되었지만, 여러 문제로 사용이 중단되었다.[31] 재료 기술과 엔진 설계는 화학 로켓의 제한 요소이다.

로켓에서 벽을 통과하는 열속은 0.8~80 MW/m2 (0.5~50 BTU/in2-sec) 범위로 매우 높다.[2] 목구멍에서 가장 강한 열속이 발견되며, 이는 고속과 고온의 조합 때문이다.

로켓의 냉각 방법에는 삭마, 복사 냉각, 덤프 냉각, 재생 냉각, 필름 냉각 등이 있다.[2]

로켓 엔진은 여러 냉각 방법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모든 경우에 연소실 벽 냉각을 돕는 것은 연소 가스의 얇은 경계층이다. 냉각 실패 또는 연소 불안정성 동안 경계층이 손상되면 벽 고장이 발생한다.

재생 냉각을 사용하면 냉각 채널에서 두 번째 경계층이 발견된다. 경계층 두께는 채널의 냉각제 속도를 높여 최소화할 수 있다.[2]

액체 연료 엔진은 연료가 풍부하게 작동하여 연소 온도를 낮추고, 저렴한 재료와 간단한 냉각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배기가스 평균 분자량을 낮추고 연소열을 운동 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을 높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켓 엔진의 연소 온도는 최대 3000℃ 이상이다. 흑연이나 텅스텐의 녹는점보다는 낮지만, 산화되므로 적합하지 않다. 재생 냉각, 에이브레이션 냉각, 필름 냉각 등으로 기존 재료를 사용한다. 세라믹이나 기능 구배 재료 등 내열성 소재 개발도 진행 중이다. 화학 추진 로켓의 성능은 추진제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로켓의 냉각 방법:

# 비냉각 (시험 운전의 짧은 시간)

# 에이브레이션 냉각

# 방사 냉각

# 덤프 냉각

# 재생 냉각 (액체 연료 로켓에서 연료 또는 산화제를 냉각재로 사용, 터보펌프 베어링 순환 시 윤활제 겸함)

# 커튼 냉각 (추진제 분사하여 가스 온도 조절)

# 필름 냉각 (액체 추진제를 분사하여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냉각한다)

재생 냉각에서는 채널 월 구조가 증가하고 있다.

포고 진동(Pogo振動)은 액체 연료 로켓 비행 중 엔진이 공진 진동하는 현상이다. 연료 유량 변화에 따른 압력 변동이 축적되어 발생하며, 연료 시스템 공진 진동 주파수에서 발생하면 진동이 강해져 기체를 파괴한다. Pogo는 약어가 아니라, 영어의 Pogo stick(일본어 깡충깡충 뛰기)에서 유래한다. 1950년대부터 60년대의 로켓이 이 현상으로 인해 손실되었다.

5. 2. 음향 문제

로켓 엔진 내부의 극심한 진동과 음향 환경은 특히 관악기와 같은 공명 및 가스 난류가 존재할 때 평균값을 훨씬 웃도는 최대 응력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20]

연소 과정에서는 갑작스럽거나 주기적인 성격의 불안정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분사실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인젝터 판을 통과하는 추진제 유량이 감소한다. 잠시 후 압력이 떨어지고 유량이 증가하여 더 많은 추진제가 연소실로 분사되고, 잠시 후 연소되어 다시 연소실 압력을 높이며 사이클이 반복된다. 이는 종종 초음파 영역에서 고진폭 압력 진동을 일으켜 모터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25kHz에서 ±200psi의 진동은 초기형 타이탄 II 미사일 2단계 엔진의 고장 원인이었다. 또 다른 고장 모드는 폭연에서 폭굉으로의 전이이며, 연소실에서 형성된 초음속 압력파가 엔진을 파괴할 수 있다.[21]

연소 불안정은 아틀라스 개발 과정에서도 문제가 되었다. 아틀라스 계열에 사용된 로켓다인(Rocketdyne) 엔진은 여러 정적 발사 시험에서 이러한 현상으로 인한 문제를 보였고, 부스터 엔진의 불안정한 연소로 인해 3기의 미사일이 발사대에서 폭발했다. 대부분의 경우, 추진제 분사 전에 점화 장치를 활성화하는 "건식 시동" 방법으로 엔진을 시동하려고 할 때 발생했다. 머큐리 계획을 위해 아틀라스의 유인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에서 연소 불안정 문제 해결은 최우선 과제였고, 마지막 두 번의 머큐리 비행에는 개선된 분사판 인젝터와 과산화수소계 점화기를 갖춘 업그레이드된 추진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아틀라스 발사체에 영향을 미친 문제는 주로 연소 중인 추진제가 원형으로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소용돌이치는 이른바 "경주로(racetrack)" 현상이었다. 결국 이는 엔진 파열을 일으킬 정도로 강한 진동을 발생시켜 로켓의 완전 파괴로 이어졌다. 이 문제는 결국 인젝터 면 주위에 여러 개의 분사판을 추가하여 소용돌이치는 추진제를 분산시킴으로써 해결되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토성 F-1 엔진에서 연소 불안정 문제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초기 시험 중 일부 장치는 정적 발사 중 폭발했으며, 이는 인젝터 분사판 추가로 이어졌다.

소련 우주 계획에서도 R-7 계열에 사용된 RD-107 엔진과 R-14 계열에 사용된 RD-216 엔진을 포함한 일부 로켓 엔진에서 연소 불안정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 여러 차례의 발사 실패가 발생했다. 소련의 엔지니어링 및 제조 공정은 대형 RP-1/LOX 엔진의 연소 불안정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제니트 계열을 추진하는 데 사용된 RD-171 엔진은 공통 엔진 메커니즘으로 공급되는 4개의 더 작은 추력실을 사용했다.

연소 불안정은 엔진 내부의 세척 용매 잔류물(예: 1962년 타이탄 II의 첫 번째 발사 시도), 반사 충격파, 점화 후 초기 불안정, 노즐 근처의 폭발이 연소실로 반사되는 현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안정적인 엔진 설계에서는 진동이 빠르게 억제되지만, 불안정한 설계에서는 오랫동안 지속된다. 일반적으로 진동 억제 장치가 사용된다.

세 가지 유형의 연소 불안정은 다음과 같다.

6. 로켓 엔진의 종류

로켓 엔진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물리적 동력, 화학, 전기, 열, 핵 로켓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화학 로켓화학 로켓은 추진제의 산화-환원 화학 반응을 통해 추력을 얻는다.



액체 추진제 로켓은 추진제 조합에 따라 다양한 엔진이 개발되었다.

미쓰비시중공업과 록히드마틴 로켓다인이 공동 연구한 MB-35, MB-60 엔진도 있다.

가압식 사이클 엔진에는 에어로제트(Aerojet)가 개발한 AJ-10이 있다.

삼액추진 로켓은 세 종류의 추진제를 조합하거나 비행 단계에 따라 추진제를 전환하는 방식이다.
전기 로켓전기 로켓은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추진제를 가속하여 추력을 얻는다. 화학 로켓보다 비추력이 훨씬 크지만, 추력은 매우 작다.
열 로켓태양열 로켓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진제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다.
핵 로켓핵 추진은 핵반응을 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6. 1. 물리적 동력 로켓

종류설명장점단점
물 로켓부분적으로 채워진 탄산음료 용기에 꼬리와 코 무게추를 단 것매우 간단하게 제작 가능고도는 일반적으로 수백 피트 정도로 제한됨(세계 기록은 830m)
냉가스 추진기비연소 형태로, 벌니어 추진기에 사용됨오염되지 않는 배기가스성능이 매우 낮음


6. 2. 화학 로켓

화학 로켓은 추진제의 발열 산화-환원 화학 반응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다.

액체 수소(LH2)와 산소(LOX 또는 LO2)는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배기 속도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추진제이지만, 붕소 또는 액체 오존을 포함하는 몇 가지 특수한 조합은 여러 가지 실제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면 이론적으로 다소 더 나을 수 있다.

로켓 엔진에서 추진제 성능을 예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37][38][39]

액체 및 하이브리드 로켓의 경우, 추진제가 연소실에 처음 들어올 때 즉각적인 점화가 필수적이다.

액체 추진제(기체는 제외)의 경우, 수 밀리초 이내에 점화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연소실 내에 과도한 액체 추진제가 남게 되며, 점화가 발생하면 생성되는 고온 가스의 양이 연소실의 최대 설계 압력을 초과하여 압력 용기의 치명적인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때때로 ''하드 스타트'' 또는 ''급작스러운 예정되지 않은 분해(RUD)''라고 불린다.[40]

점화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화약 장치를 사용하거나, 플라즈마 토치를 사용하거나, 전기 스파크 점화[41]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연료/산화제 조합은 접촉 시 자연 발화한다(자연 발화성). 비자연 발화성 연료는 자연 발화성 추진제로 연료 라인을 프라이밍하여 "화학적으로 점화"할 수 있다(러시아 엔진에서 널리 사용됨).

기체 추진제는 일반적으로 하드 스타트를 일으키지 않는다. 로켓의 경우, 총 인젝터 면적이 목구멍보다 작기 때문에 점화 전에 연소실 압력은 주변 압력에 가까워지며, 점화 시 연소실 전체가 가연성 가스로 가득 차더라도 고압이 형성될 수 없다.

고체 추진제는 일반적으로 일회용 화약 장치로 점화되며, 연소는 일반적으로 추진제의 완전 소모까지 진행된다.[49]

일단 점화되면 로켓 연소실은 자체적으로 지속되며, 점화기는 필요하지 않고 연소는 일반적으로 추진제의 완전 소모까지 진행된다. 실제로, 연소실은 몇 초 동안 작동을 멈춘 후 다시 시작되면 종종 자발적으로 재점화된다. 재점화용으로 설계되지 않은 경우, 냉각된 많은 로켓은 화약 점화기 교체 또는 추진제 재충전과 같은 최소한의 유지 보수 없이는 다시 시작할 수 없다.[49]

유형설명장점단점
고체 추진제 로켓점화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연소되는 고체 연료/산화제 혼합물(「그레인」)로 중앙 구멍과 노즐이 있다.간단하며, 종종 움직이는 부품이 없고, 비교적 양호한 질량 분율과 적절한 Isp을 갖는다. 추력 스케줄은 그레인에 설계될 수 있다.스로틀링, 연소 종료 및 재점화에는 특수 설계가 필요하다. 점화 가능한 혼합물의 취급 문제. 액체 로켓보다 성능이 낮다. 그레인에 균열이 생기면 노즐을 막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레인 균열은 연소 중에 타고 넓어진다. 탱크를 채우는 것보다 재급유가 더 어렵다. 점화 후에는 끌 수 없으며, 모든 고체 연료가 소진될 때까지 연소된다.
하이브리드 추진제 로켓별도의 산화제/연료; 일반적으로 산화제는 액체이며 탱크에 보관되고 연료는 고체이다.매우 간단하며, 산화제 없이는 고체 연료는 본질적으로 불활성이고 안전하며, 균열이 확대되지 않고, 스로틀링이 가능하며 쉽게 끌 수 있다.일부 산화제는 단일 추진제이며 자체적으로 폭발할 수 있다. 고체 추진제의 기계적 결함으로 노즐이 막힐 수 있다(고무화된 추진제의 경우 매우 드물다). 중앙 구멍은 연소 중에 넓어지고 혼합비에 악영향을 미친다.
단일 추진제 로켓추진제(예: 히드라진, 과산화수소 또는 아산화질소)가 촉매를 통과하여 발열적으로 분해되며, 고온 가스는 노즐을 통해 배출된다.개념이 간단하고, 스로틀링이 가능하며, 연소실 온도가 낮다.촉매가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단일 추진제는 오염되거나 자극을 받으면 폭발할 수 있으며, Isp은 최고 성능의 액체 로켓의 약 1/3이다.
이원 추진제 로켓두 가지 유체(일반적으로 액체) 추진제가 인젝터를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어 연소된다.탁월한 혼합 제어를 통해 최대 ~99%의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하며, 스로틀링이 가능하고, 터보펌프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가벼운 탱크가 가능하며, 매우 주의 깊게 다루면 안전할 수 있다.고성능에 필요한 펌프는 설계 비용이 많이 들고, 연소실 벽을 통한 열속이 매우 높아 재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주요 폭발을 포함한 고장 모드가 있으며, 많은 배관이 필요하다.
기체-기체 로켓산화제와 연료 모두에 기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이원 추진제 추력기냉기체 추력기보다 성능이 높다.액체 기반 엔진보다 성능이 낮다.
이중 모드 추진 로켓로켓은 이원 추진제 로켓으로 이륙한 다음, 단일 추진제를 단일 추진제로 사용한다.단순성과 제어 용이성이원 추진제보다 성능이 낮다.
삼원 추진제 로켓세 가지 다른 추진제(일반적으로 수소, 탄화수소 및 액체 산소)가 가변 혼합비로 연소실로 유입되거나, 고정된 추진제 혼합비를 가진 여러 엔진이 사용되어 스로틀링되거나 정지된다.수소가 더 가볍기 때문에 이륙 중량이 줄어든다. 우수한 추력 대 중량비와 높은 평균 Isp을 결합하여 지구에서 발사하는 탑재량을 상당히 증가시킨다.이원 추진제와 유사한 문제가 있지만 배관이 더 많고 연구 개발이 더 많이 필요하다.
공기 증강 로켓본질적으로 로켓의 배기가스와 흡입된 공기가 압축되어 연소되는 램제트이다.마하 0~4.5+ (대기권 밖에서도 작동 가능), 마하 2~4에서 효율이 좋다.저속 또는 대기권 밖에서는 로켓과 유사한 효율, 흡입구 어려움, 상대적으로 미개발되고 탐구되지 않은 유형, 냉각 어려움, 매우 시끄러움, 추력 대 중량비는 램제트와 유사하다.
터보로켓산소와 같은 추가 산화제가 공기 흐름에 추가되어 최대 고도를 높이는 복합 사이클 터보제트/로켓이다.기존 설계와 매우 유사하며, 매우 고고도에서 작동하고, 고도와 공기 속도 범위가 넓다.대기 속도는 터보제트 엔진과 같은 범위로 제한되며, 액체산소와 같은 산화제를 운반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단순 로켓보다 훨씬 무겁다.
예냉식 제트 엔진 / LACE (로켓과 결합된 복합 사이클)램제트 또는 터보제트 엔진을 통과하기 전에 흡입 공기가 입구에서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궤도 진입을 위해 로켓 엔진과 결합될 수 있다.지상에서 쉽게 시험할 수 있다. 우수한 연료 효율과 함께 높은 추력 대 중량비(~14)가 다양한 공기 속도(마하 0~5.5+)에서 가능하다. 이러한 효율의 조합은 단일 단계로 궤도에 발사하거나 매우 빠른 대륙간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실험실 시제품 단계에만 존재한다. 예로는 RB545, SABRE, ATREX가 있다.


6. 3. 전기 로켓

전기 로켓은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추진제를 가속, 추력을 얻는 로켓 엔진의 한 종류이다. 화학 로켓이 연료와 산화제의 연소 반응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전기 로켓은 전기적 효과를 통해 추진제를 가속한다. 이 때문에 노즐이 없는 경우도 있다.

종류설명장점단점
저항 제트 로켓 (전기 가열)가열 요소를 통해 불활성 유체에 에너지를 전달하거나, 모노프로펠런트에 추가 에너지를 전달한다.질량보다 전력이 저렴한 곳에서 효율적이며, 모노프로펠런트보다 높은 비추력(약 40% 더 높음)을 가진다.많은 전력이 필요하여 추력이 낮다.
아크제트 로켓 (전기 방전에 의한 화학 연소)가열 요소가 전기 아크로 대체되어 가열 요소의 물리적 요구 사항이 없다.1,600초 비추력매우 낮은 추력, 높은 전력 소모량, 이온 추진기와 유사한 성능
가변 비추력 자기 플라즈마 로켓마이크로파로 가열된 플라즈마와 자기 노즐 사용1,000초에서 10,000초까지 가변 비추력이온 추진기와 유사하거나 더 나쁜 추력 대 중량비, 열 문제, 높은 전력 요구, 초전도체 작동을 위한 낮은 온도 필요, 비행 경험 없음
펄스 플라즈마 추진기 (전기 아크 가열; 플라즈마 방출)플라즈마를 사용하여 고체 추진제를 침식시킨다.높은 비추력, 자세 제어를 위한 펄스 제어 가능낮은 에너지 효율
이온 추진 시스템접지측과 양극측에 높은 전압 사용배터리로 구동 가능낮은 추력, 높은 전압 필요



전기 추진은 비추력을 중시하기 때문에 화학 로켓보다 비추력이 훨씬 크지만, 추력은 매우 작다.

주문 제작 형태의 기술 실증용 제품이 많지만, 이온 엔진을 중심으로 제품화되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 4. 열 로켓

태양열 로켓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진제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다. 다른 태양 에너지 추진 방식과 달리 전기 발전기가 필요하지 않다. 태양열 로켓은 집광기와 거울 등을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모은다. 가열된 추진제는 로켓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추력을 발생시킨다. 엔진 추력은 태양 집열기의 표면적과 태양 복사 강도에 비례하고, 비추력( ''I''sp)에 반비례한다.

유형설명장점단점
태양열 로켓태양 집열기를 이용하여 추진제 가열설계가 간단하다. 수소 추진제를 사용하면 비추력이 900초로, 핵열 로켓과 비슷하지만 핵분열 반응 제어의 문제와 복잡성이 없다. 생산적으로 사용 가능한 폐가스 수소(장기간 액체 수소를 우주의 복사열 환경에서 저장할 때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부산물)를 궤도 유지와 자세 제어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42]추력이 낮아 우주에서만 유용하지만, 수소는 우주에서 보관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42] 분자량이 더 큰 추진제를 사용하면 비추력이 중간/낮은 수준이다.



종류설명장점단점
광선 추진 로켓원격에서 차량으로 조준된 광선(주로 레이저)으로 추진제를 가열한다. 직접 가열하거나 열교환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한다.원리상 단순하며, 매우 높은 배기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궤도 진입 시 탑재량 1kg당 약 1MW의 출력이 필요하며, 높은 가속도가 필요하다. 레이저는 구름이나 안개에 가려질 수 있고, 반사된 레이저 광선은 위험하다. 좋은 성능을 위해서는 수소 단일 추진제가 필요한데, 이는 무거운 탱크를 필요로 한다. 추진제/열교환기가 밝게 달아올라 일부 설계는 재방출 광선으로 인해 약 600초로 제한된다.
마이크로파 빔 추진 로켓원격에서 차량으로 조준된 마이크로파 빔으로 추진제를 가열한다.비추력(Isp)은 핵열 로켓과 비슷하며, 추력 대 중량비는 기존 로켓과 유사하다. LH₂ 추진제는 가장 높은 비추력과 로켓 탑재량 비율을 제공하지만, 암모니아나 메탄은 높은 밀도와 비추력의 조합으로 지구 궤도 진입 로켓에 경제적으로 우수하다. 이러한 추진제를 사용하면 소형 로켓에서도 SSTO 작동이 가능하여 로켓 단계화 과정에 의한 위치, 궤적 및 충격 제약이 없다. 마이크로파는 레이저보다 와트당 10~100배 저렴하며, 10 GHz 미만의 주파수에서는 모든 기상 조건에서 작동한다.궤도 진입에 필요한 탑재량 1kg당 출력은 추진제에 따라 0.3~3 MW이며,[43] 이는 빔 조향 장치에 대한 인프라 비용과 연구 개발 비용을 발생시킨다. 밀리미터파 영역에서 작동하는 개념은 기상 가용성과 고고도 빔 조향 장치 부지, 차량을 LEO로 추진하기 위한 30~300미터의 유효 송신기 직경 문제에 직면한다. X-band 이하에서 작동하는 개념은 차량을 LEO로 추진하기에 충분히 정밀한 빔을 얻으려면 수 킬로미터 단위의 유효 송신기 직경을 가져야 한다. 송신기는 이동식 플랫폼에 설치하기에는 너무 크기 때문에 마이크로파 추진 로켓은 고정된 빔 조향 장치 부지 근처에서 발사해야 한다.



종류설명장점단점
온수 로켓고온/고압으로 저장된 온수가 노즐에서 수증기로 변환된다.간단하고 비교적 안전하다.무거운 탱크로 인해 전반적인 성능이 낮다; 비추력( Isp)이 200초 미만이다.



추진제를 전열선이나 세라믹 히터 등으로 가열하는 방식은 초기 인공위성에 많이 사용되었다.

6. 5. 핵 로켓

핵 추진은 주 동력원으로 다양한 형태의 핵반응을 사용하는 추진 방식이다. 여러 종류의 핵 추진 방식이 제안되었고, 일부는 우주선 응용을 위해 실험되었다.

유형설명장점단점
방사성 동위원소 로켓/푸들 추진기 (방사성 붕괴 에너지)방사성 붕괴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수소를 가열한다.약 700~800초, 거의 움직이는 부품이 없다.추력 대 중량 비율이 낮다.
핵열 로켓 (핵분열 에너지)추진제(일반적으로 수소)를 핵반응로를 통과시켜 고온으로 가열한다.Isp이 높을 수 있으며, 어떤 설계에서는 900초 이상, 1보다 큰 추력 대 중량 비율을 달성할 수 있다.재료 기술에 의해 최대 온도가 제한되며, 일부 설계에서는 배기가스에 방사성 입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핵반응로 차폐는 무겁고, 지구 표면에서 발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추력 대 중량 비율이 높지 않다.
가스 코어 원자로 로켓 (핵분열 에너지)추진제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기체 상태의 핵분열 원자로를 이용한 핵반응매우 고온의 추진제, 원자로를 고체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음, Isp 1,500~3,000초 사이이지만 추력이 매우 큼추진제 가열 시 배기가스에서 분열성 물질이 손실되는 문제, 특히 노즐/목 부분의 심각한 열 문제, 배기가스가 본질적으로 방사능에 오염됨. 핵 전구(Nuclear lightbulb) 변형은 분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Isp이 절반으로 감소함.
핵분열 파편 로켓 (핵분열 에너지)핵분열 생성물이 직접 배출되어 추력을 발생시킨다.현재로서는 이론적인 단계이다.
핵 돛 (핵분열 에너지)돛 재료의 한쪽 면에 분열성 물질이 코팅된다.움직이는 부분이 없고, 심우주에서 작동한다.현재로서는 이론적인 단계이다.
핵 염수 로켓 (핵분열 에너지)핵 염이 용액 상태로 유지되며, 노즐에서 반응하도록 유도된다.매우 높은 Isp, 매우 높은 추력노즐의 열 문제, 추진제 불안정 가능성, 고방사능 배기가스. 현재로서는 이론적인 단계이다.
핵 펄스 추진 (핵분열/핵융합 폭탄 폭발)성형된 핵폭탄이 차량 뒤에서 폭발하고, 폭발 충격이 추진판에 의해 포착된다.매우 높은 Isp, 매우 높은 추력/중량 비율, 이 기술에 대한 걸림돌은 알려진 바 없음.실험된 적 없음, 추진판이 충격으로 인해 파편을 떨어뜨릴 수 있음, 핵폭탄의 최소 크기가 여전히 매우 큼, 소규모에서는 비용이 많이 듬, 핵 조약 문제, 지구 자기권 아래에서 사용 시 낙진 발생.
반물질 촉매 핵 펄스 추진 (핵분열 및/또는 핵융합 에너지)소형 폭탄을 위한 반물질 보조 장치가 있는 핵 펄스 추진소형 차량이 가능할 수 있음반물질의 격리, 거시적 양의 반물질 생산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함. 현재로서는 이론적인 단계이다.
핵융합 로켓 (핵융합 에너지)핵융합이 추진제 가열에 사용된다.매우 높은 배기 속도현재 기술 수준을 크게 벗어남.
반물질 로켓 (소멸 에너지)반물질 소멸이 추진제 가열에 사용된다.극도로 에너지가 높고, 매우 높은 이론적 배기 속도반물질 생산 및 취급 문제; 중성미자, 감마선, 뮤온 손실; 열 문제. 현재로서는 이론적인 단계이다.


7. 로켓 엔진 개발

로켓 엔진 개발 과정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진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엔진의 성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면밀히 검토하고 해결해야 한다.
진동의 종류


진동 해결 방법진동 문제는 설계 과정에서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광범위한 시험과 시행착오를 통해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스크리칭은 인젝터 변경, 추진제 조성 변경, 헬름홀츠 댐퍼(Helmholtz damper) 사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스크리칭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소형 폭발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젝터 근처 연소실에 접선 방향으로 설치된 관을 이용하여 연소실 외부에서 소형 폭발물을 폭발시켜 엔진의 임펄스 응답(impulse response)을 결정하고, 연소실 압력의 시간 응답을 평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단한다.
음향 특징로켓 엔진은 매우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극초음속 배기가 주변 공기와 섞이면서 충격파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스페이스 셔틀은 기저부 주변에서 200데시벨(A)이 넘는 소음을 발생시켰다.[26]

이동식 발사대에는 소음 억제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발사 시 다량의 물을 분사하여 소음을 줄인다. 이 시스템은 탑재 공간의 소음 수준을 142dB로 유지한다.[26]

발생하는 충격파의 음향 강도는 로켓의 크기와 배기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큰 로켓 엔진에서 나는 탁탁거리는 소리와 터지는 소리는 충격파 때문이다. 이러한 소음은 마이크와 오디오 장비를 과부하시켜 녹음이나 방송에서는 약화되거나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근거리에서는 음향 효과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27]

소음은 발사 구조물을 손상시키거나, 로켓에 반사되어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발사 시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공기의 음향 특성을 변화시켜 소음 에너지를 줄이거나 편향시킨다.

로켓이 지면에 가까울 때 소음이 가장 강하며, 이는 엔진 소음이 지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이다. 또한, 발사체가 느리게 움직일 때는 엔진에 투입되는 화학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소음 발생에 소모된다. 이러한 소음은 화염 트렌치, 물 주입, 제트 각도 조절 등을 통해 줄일 수 있다.

7. 1. 미국

미국의 로켓 엔진 산업 발전은 정부 기관, 민간 기업, 연구 기관 등의 복잡한 관계망을 통해 이루어졌다.

1941년 최초의 액체 추진 로켓 엔진 회사인 리액션 모터스와 최초의 정부 연구소인 GALCIT 설립 이후, 미국의 액체 추진 로켓 엔진(LPRE) 산업은 큰 변화를 겪었다. 1940년부터 2000년까지 최소 14개의 미국 기업이 로켓 엔진 설계, 개발, 제조, 시험 및 비행 지원 운영에 참여했다. 러시아, 중국, 인도와 달리 미국 정부는 민간 산업에 크게 의존하며, 이들 기업은 정부, 군, 민간 부문의 수요를 충족하는 최첨단 로켓 엔진을 제공하기 위해 경쟁한다. 일반적으로 LPRE를 개발하는 회사가 생산 계약을 수주한다.

새로운 로켓 엔진에 대한 수요는 주로 NASA 또는 국방부와 같은 정부 기관에서 발생한다. 정부 기관은 필요성이 확인되면 제안 요청서(RFP)를 발행하여 민간 기업 및 연구 기관으로부터 제안을 받는다. 이들은 RFP에 명시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새로운 로켓 엔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개발(R&D)에 투자한다.

대학, 독립 연구소, 정부 연구소도 로켓 엔진 연구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은 대학원 및 학부 교육을 통해 유능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로켓 엔진 기술 발전에 기여한다. 미국에서는 25개 이상의 대학에서 LPRE 관련 과정을 가르치거나 가르쳤으며, 이들의 대학원 및 학부 교육 프로그램은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로 여겨진다. 프린스턴 대학교, 코넬 대학교, 퍼듀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앨라배마 대학교, 해군 대학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등은 로켓 엔진 산업 관련 주제에 대한 우수한 R&D 작업을 수행했다.[28] 1941년 GALCIT의 작업은 대학의 로켓 엔진 산업 기여의 초기 사례 중 하나로, 육군에 최초의 제트 보조 이륙(JATO) 로켓을 시연하여 제트 추진 연구소(JPL) 설립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연구 교수와 프로젝트에서 로켓 엔진 산업으로의 지식 이전은 혼합된 경험이었다. 일부 교수의 연구 프로젝트가 산업 관행과 LPRE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대학 연구와 민간 기업 간의 연결은 일관성이 없고 약했다.[28] 대학은 산업의 특정 요구 사항을 항상 인식하지 못했고, 산업계 엔지니어와 설계자는 대학 연구에 대한 지식이 제한적이었다. 많은 대학 연구 프로그램은 산업 의사 결정자에게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지난 수십 년 동안 교수들에게는 흥미로웠지만, 의사소통 부족이나 산업 요구 사항과의 관련성 부족으로 산업에 유용하지 않은 특정 대학 연구 프로젝트도 있었다.[28]

공군 연구소의 일부인 로켓 추진 연구소, 아놀드 엔지니어링 시험 센터, NASA 마셜 우주 비행 센터, 제트 추진 연구소, 스테니스 우주 센터, 화이트 샌즈 사격장, NASA 존 H. 글렌 연구 센터를 포함한 정부 연구소는 액체 로켓 추진 엔진(LPRE)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28] 이들은 공정한 시험을 수행하고, 미국 및 일부 비미국 계약업체의 작업을 지도하며,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필수 시험 시설을 제공했다. 초기에는 민간 기업이나 재단이 소규모 시험 시설에 자금을 지원했지만, 1950년대 이후 미국 정부는 정부 연구소의 대규모 시험 시설에 자금을 지원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정부 비용을 절감했지만, 계약업체의 복잡성과 비용을 증가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 연구소는 그 중요성을 공고히 하고 LPRE 발전에 기여했다.

LPRE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수백만 달러의 개발 비용을 지출한 후에도 여러 번 취소되었다. 예를 들어, M-1 LOX/LH2 LPRE, 타이탄 I 및 RS-2200 에어로스파이크와 여러 JATO 장치 및 대형 비냉각 추력실이 취소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취소는 특정 LPRE의 성능 문제가 아니라, 엔진이 의도된 차량 프로그램의 취소 또는 정부의 예산 삭감 때문이었다.

7. 2. 소련/러시아

러시아와 구 소련은 로켓 엔진 개발 및 제작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국가였다. 1950년부터 1998년까지 소련은 다른 어떤 국가보다 다양한 종류와 많은 수량의 액체 추진 로켓 엔진(LPRE)을 개발, 제작 및 운용했다. 2003년 이전까지 약 500종의 LPRE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같은 기간 미국이 개발한 300여 종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이다.[28] 소련은 또한 퇴역한 탄도 미사일을 활용한 우주 발사체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이기도 했다. 1998년 말까지 러시아(혹은 이전의 소련)는 LPRE를 사용하여 2573개의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했으며, 이는 전 세계 발사 횟수의 약 65%를 차지한다.[28]

소련은 로켓 엔진 개발과 생산을 단일 조직에 통합하지 않고, 여러 전문 설계국(OKB)들이 경쟁하는 체제를 구축했다. 이 설계국들은 주로 연구 개발과 시제품 제작을 담당하는 국영 기관이었으며, 군사 장비와 관련된 첨단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로켓 엔진 전문 설계국들은 자체적으로 실험용 로켓 엔진의 실험실 시험, 유동 시험 및 지상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과 인력을 갖추고 있었다. 일부 설계국은 대형 엔진 시험을 위한 특수 시설을 갖추고, 발사체 단에 장착된 엔진의 정적 연소 시험을 수행하거나 엔진 시험 중 고도 조건을 시뮬레이션하기도 했다.

소련의 LPRE 개발은 1960년대에 크게 성장하여 1970년대에 정점에 달했다. 이 시기는 냉전 시대로, 미국과의 우주 경쟁이 치열했던 때였다. 14개에서 17개의 설계국과 연구소가 LPRE 개발에 참여했으며, 군사 및 우주 비행의 높은 우선순위 덕분에 안정적인 지원과 자금을 받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가능했다.

새로운 발사체(미사일 또는 우주선) 개발 시, 임무 요구 사항에 맞는 로켓 엔진이 없는 경우 LPRE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다른 설계국에 새로운 엔진 개발이 계약되었다. 각 설계국은 서로 다른 용도, 추진제 또는 엔진 크기를 가진 특정 유형의 LPRE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로켓 엔진 개발 계약은 단일 설계국에 주어지거나, 여러 설계국 간의 경쟁을 통해 결정되기도 했다. 단일 설계국이 선택되는 경우는 발사체 또는 시스템의 수석 설계자와 로켓 엔진 전문 설계국 수석 설계자 간의 관계 때문인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여러 개의 엔진 개발이 동시에 진행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하나의 엔진만이 선택되었고, 이로 인해 다른 엔진들은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설계국 시스템의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R-9A 탄도 미사일 엔진 개발과 N-1 중형 우주 발사체 엔진 개발은 중복 및 취소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R-9A의 경우, 두 종류의 엔진이 개발되었지만 결국 하나만 선택되었고, N-1의 경우, 6단계 각각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엔진이 개발되었으나, 프로그램 자체가 취소되면서 많은 엔진이 사용되지 못하고 남게 되었다.

8. 로켓 엔진 시험

로켓 엔진은 양산에 들어가기 전에 보통 시험 시설에서 정적 시험을 거친다. 고고도 엔진의 경우, 더 짧은 노즐을 사용하거나 로켓을 대형 진공 챔버에서 시험해야 한다.

9. 로켓 엔진의 안전

로켓은 신뢰성이 낮고 위험하며, 특히 치명적인 실패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이 있지만, 신중하게 설계하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군사용 로켓은 낮은 신뢰성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로켓의 주요 비군사적 용도인 궤도 발사의 경우, 무게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과 낮은 무게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 또한, 발사 횟수가 적으면 설계, 운영, 제조상의 오류로 인해 발사체가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엔진 종류사용처엔진 비행 횟수치명적 고장 횟수비고
로켓다인 H-1새턴 1호, 새턴 IB호 1단 (8개 묶음)152회0회
프랫 앤드 휘트니 RL10새턴 1호 2단 (6개 묶음)36회0회
로켓다인 F-1새턴 V호 1단 (5개 묶음)65회0회
로켓다인 J-2새턴 V호 2단 (5개 묶음), 새턴 IB호 2단, 새턴 V호 3단 (단독)86회0회
스페이스셔틀 고체로켓 부스터270회1회챌린저호 재난
RS-25405회0회STS-51-F 임무 중 1회 고장[29] (임무 영향 없음)[30]


10. 로켓 엔진의 역사

아울루스 겔리우스의 저술에 따르면, 제트 추진의 가장 오래된 예는 기원전 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그리스의 피타고라스파인 아르키타스가 증기를 이용하여 나무로 만든 새를 철사 위로 날렸다고 한다.[44][45] 하지만, 자체 추력으로 이륙할 만큼 강력하지는 않았다.

기원전 1세기에 기술된 ''아이올리필레''는 종종 ''헤론의 엔진''으로 알려져 있으며, 베어링에 장착된 한 쌍의 증기 로켓 노즐로 구성되었다. 이것은 산업혁명보다 거의 2천 년 전에 만들어졌지만, 그 원리는 잘 이해되지 않았고, 실용적인 동력원으로 개발되지 않았다.

발사체를 추진하는 흑색화약의 사용은 최초의 고체 로켓 개발의 전조였다. 9세기 중국도교 연금술사들은 불로초를 찾는 과정에서 흑색화약을 발견했다. 이 우연한 발견은 최초로 지상을 떠난 로켓 엔진인 화살촉 화약로켓으로 이어졌다.

13세기 말까지 발사체 혼합물에 초석을 도입한 것은 투척식 그리스의 불에서 자체 추진식 로켓으로의 전환과 관련이 있다.[46]

16세기에는 독일의 군사 기술자인 콘라드 하스(1509~1576)가 다단계 로켓의 제작을 소개한 원고를 작성했다.[47]

팁푸 술탄(Tipu Sultan), 마이소르(Mysore) 왕도 로켓 엔진을 사용했다. 약 1파운드의 화약을 운반하는 로켓은 거의 약 914.40m까지 날아갈 수 있었다. 칼이 장착된 이러한 '로켓'은 공중에서 수 미터를 날아간 후 칼날이 적을 향하게 하여 떨어졌다. 이것은 영국 제국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러시아의 콘스탄틴 치올콥스키(Konstantin Tsiolkovsky)가 최초로 액체 연료 로켓 엔진에 대해 기술하면서, 19세기 후반까지 기술의 느린 발전이 계속되었다. 그는 치올콥스키 로켓 방정식을 처음으로 개발했지만, 몇 년 동안 널리 출판되지는 않았다.

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고다드 덕분에 현대식 고체 및 액체 연료 엔진은 20세기 초에 현실이 되었다. 고다드는 고체 추진제(화약) 로켓 엔진에 드 라발 노즐(De Laval nozzle)을 최초로 사용하여 추력을 두 배로 늘리고 효율을 약 25배 향상시켰다. 그는 독자적으로 유도한 로켓 방정식을 통해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적당한 크기의 로켓이 1파운드의 탑재물을 달에 보낼 수 있다고 계산했다. 고다드는 1921년부터 액체 추진제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1926년 최초로 액체 연료 로켓을 발사했다.

1930년대 후반, 베르너 폰 브라운(Wernher von Braun)과 헬무트 발터(Hellmuth Walter) 등 독일 과학자들은 군용 항공기에 액체 연료 로켓을 장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48]

단계 연소(''Замкнутая схема'')는 1949년 알렉세이 이사예프(Alexey Isaev)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최초의 단계 연소 엔진은 이사예프의 전 조수인 멜니코프가 설계한 소련 행성 로켓에 사용된 S1.5400이었다.[49]

서구에서는 1963년 루드비히 벨코우(Ludwig Boelkow)가 독일에서 최초의 실험실 단계 연소 시험 엔진을 제작했다.

액체 수소 엔진은 미국에서 최초로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 RL-10 엔진은 1962년에 처음 비행했다. 후속 엔진인 Rocketdyne J-2는 인간을 달에 보낸 아폴로 계획새턴 V 로켓에 사용되었다.

단일 로켓 비행에서 가장 많은 엔진을 사용한 기록은 2016년 NASA가 블랙 브랜트에서 44개로 설정했다.[50]

참조

[1] 뉴스 SpaceX reveals ITS Mars game changer via colonization plan https://www.nasaspac[...] 2016-09-27
[2] 서적 NASA SP-125, Design of Liquid Propellant Rocket Engines, Second Edition https://ntrs.nasa.go[...] NASA 1971-01-01
[3]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https://archive.org/[...] Wiley Interscience 2010
[4]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https://archive.org/[...] Wiley Interscience 2010
[5] 뉴스 Blue Origin Completes BE-3 Engine as BE-4 Work Continues http://spacenews.com[...] 2015-04-07
[6] 뉴스 Elon Musk Shows Off Interplanetary Transport System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Insider 2016-09-27
[7] 웹사이트 RD-0410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8] 웹사이트 http://www.kbkha.ru/[...] KBKhA - Chemical Automatics Design Bureau
[9] 웹사이트 Aircraft: Lockheed SR-71A Blackbird http://www.marchfiel[...]
[10] 웹사이트 Factsheets : Pratt & Whitney J58 Turbojet http://www.nationalm[...] National Museum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11] 웹사이트 Rolls-Royce SNECMA Olympus - Jane's Transport News http://www.janes.com[...]
[12] 간행물 Military Jet Engine Acquisition http://www.rand.org/[...] RAND 2002
[13] 웹사이트 http://www.kbkha.ru/[...] KBKhA - Chemical Automatics Design Bureau
[14] 웹사이트 RD-0146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15] 웹사이트 SSME http://www.astronaut[...]
[16] 웹사이트 RD-180 http://www.astronaut[...]
[17] 웹사이트 Encyclopedia Astronautica: F-1 http://www.astronaut[...]
[18] 웹사이트 Astronautix NK-33 entry http://www.astronaut[...]
[19] 웹사이트 Introducing Propellant into a Combustion Chamber https://www.idc-onli[...]
[20] 뉴스 What's the Deal with Rocket Vibrations? https://www.technolo[...]
[21] 서적 Titian II: A History of a Cold War Missile Program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2000
[22] 서적 The Theory of Sound – Volume 2 Macmillan (reprinted by Dover Publications in 1945) 1896
[23] 논문 The explanation of certain acoustical phenomena 1878
[24] 논문 Unsteady flames and the Rayleigh criterion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6
[25]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An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of Rockets https://archive.org/[...] Wiley Interscience 1975
[26] 웹사이트 Sound Suppression System https://www.nasa.gov[...] NASA
[27] 간행물 NASA CR-566, Acoustic Prediction Methods For Rocket Engines, Including The Effects Of Clustered Engines And Deflected Flow https://ntrs.nasa.go[...]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Langley (NASA Langley) 1966
[28] 서적 History of Liquid Propellant Rocket Engines AIAA
[29] 웹사이트 Space Shuttle Main Engine http://www.pw.utc.co[...] Pratt & Whitney Rocketdyne
[30] 웹사이트 An SSME-related request http://forum.nasaspa[...] NASASpaceflight.com 2012-01-17
[31]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https://archive.org/[...] Wiley Interscience 2010
[32] 웹사이트 Raketenmotor der A4 (V2)-Rakete https://www.deutsche[...]
[33] 웹사이트 U.S. Manned Rocket Propulsion Evolution Part 8.12: Rocketdyne F-1 Engine Description https://www.enginehi[...] 2022-08-03
[34] 웹사이트 U.S. Manned Rocket Propulsion Evolution Part 6: The Titan Missile https://www.enginehi[...] 2022-08-03
[35] 서적 Apollo spacecraft liquid primary propulsion systems https://ntrs.nasa.go[...] NASA, Lyndon B. Johnson Space Center 1966-02-07
[36] 웹사이트 Newsgroup correspondence http://yarchive.net/[...] 1999-12-31 # 1998-99는 범위이므로 1999년 12월 31일로 설정합니다.
[37] 웹사이트 Complex chemical equilibrium and rocket performance calculations http://rocketworkben[...]
[38] 웹사이트 Tool for Rocket Propulsion Analysis http://propulsion-an[...]
[39] 웹사이트 NASA Computer program Chemical Equilibrium with Applications https://web.archive.[...]
[40] 뉴스 Falcon 9 RUD? http://www.aviationw[...] 2012-11-26
[41] 뉴스 ITS Propulsion – The evolution of the SpaceX Raptor engine https://www.nasaspac[...] 2016-10-03
[42] 간행물 Evolving to a Depot-Based Space Transportation Architecture http://www.ulalaunch[...] AIAA 2010-09-02
[43] 웹사이트 Microwave Thermal Rockets http://parkinresearc[...] 2016-12-08
[44] 서적 Aulus Gellius: An Antonine Author and his Achiev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5] 백과사전 Archytas
[46] 서적 The Rockets' Red Glare https://archive.org/[...] Anchor Press/ Doubleday 1976
[47] 서적 The Rockets' Red Glare https://archive.org/[...] Anchor Press/ Doubleday 1976
[48] 서적 The First Jet Pilot – The Story of German Test Pilot Erich Warsitz http://www.pen-and-s[...] Pen and Sword Ltd. 2009
[49] 서적 History of Liquid Propellant Rocket Engines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5
[50] 뉴스 NASA and Navy Set World Record for Most Engines in One Rocket Flight https://www.space.co[...] 2016-08-19
[51] 웹사이트 M-Vロケット推進系研究開発を振り返って https://www.isas.jax[...]
[52] 문서 開口比40のノズルスカートを未装着時の推力は48.52kN (4.9 tf)
[53] 문서 開口比40のノズルスカートを未装着時の推力は66.64kN (6.8 tf)
[54] 문서 開口比40のノズルスカートを未装着時の比推力は286.8秒
[55] 문서 開口比40のノズルスカートを未装着時の比推力は291.6秒
[56] 문서 計算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